작곡프로그램 이야기 (7) 썸네일형 리스트형 에이블톤 라이브 미디레코딩 에이블톤 라이브에 미디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한 것들이 있다. 연주가 가능한 사용자라면 리얼 입력이 가장 편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 방법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 외, 컴퓨터 키보드를 이용한 리얼 입력 및 스텝 입력에 관해서도 살펴보겠다. 레코딩 준비 Ctrl + N 키를 눌러 새 프로젝트를 만들고 카테고리의 인스트루멘트를 선택한다. 그리고 Impulse 폴더의 Backbeat Room.adg 렉을 1 미디 트랙으로 드레그 한다. 세션뷰의 인풋/아웃풋 버튼을 클릭하여 인/아웃 섹션을 표시한다. 미디 From의 Input Type은 All Ins로 선택되어 있다. 컴퓨터에 연결된 모든 미디 입력 장치의 신호를 받아 듣겠다는 의미이다. 인풋 채널 역시 All Channels .. 에이블톤 라이브 브라우저 뷰 브라우저는 에이블톤 팩, 프리세트, 미디 및 오디오 샘플 등, 음악 작업에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를 관리한다. 라이브러리는 에이블톤에서 제공하는 것 외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브라우저 구조에서 라이브러리 관리까지의 모든 내용을 살펴보겠다. 브라우저 뷰의 구성 브라우저 뷰 왼쪽의 사이드 바에는 라이브러리를 사운드, 드럼, 인스트루멘트, 오디오 이펙트 등의 타입 별로 구분해놓은 카테고리와 하드 드라이브 폴더 내용을 보여주는 Places의 두 가지 섹션을 제공한다. 오른쪽 콘텐츠 패널은 사이드 바에서 선택한 카테고리 내용을 표시하며, 삼각형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좌/우 방향키를 눌러 폴더 목록을 볼 수 있다. 콘텐츠 패.. 로직 작업의 시작 미디(MIDI) 작업은 우리가 듣는 '소리 자체를 녹음하는 것이 아니라 음정, 음의 길이, 강약 등 수정이 가능한 신호를 다루는 작업이다. 그래서 이러한 미디 작업을 시퀀싱(sequencing)이라고 한다. 이번 파트에서는 마우스로 멜로디를 입력하고 건반 연주를 레코드 하는 방법을 따라하며 기본적인 시퀀싱 작업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Arrange 화면과 Piano Roll 화면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양한 마우스 Tool들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또한 연주 신호를 담아내는 Region과 악기를 불러오는 트랙을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도록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이제 부터 로직에서 진행되는 시퀀싱 작업을 하나씩 익혀보자 Arrange 화면 로직의 가장.. 에이블톤 라이브 마이너 업그레이드 Live 9.1 에이블톤 라이브 9.1 업그레이드 제품을 발표할 때 가장 부각되었던 것은 듀얼 모니터 지원과 푸쉬에서의 노트 스텝 기능이다. 듀얼 모니터 지원은 다소 민망할 만큼 늦은 감은 있지만, 노트북 하나 달랑 들고 활동하는 라이브 연주자들에게는 아쉬움이 없는 부분이었다. 9.1에서는 두 대의 모니터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튜디오 작업자들을 위해서 View 메뉴의 Second Window 명령을 이용하여 독립 창을 열수 있게 되었다. 푸쉬에서의 노트 스텝 기능도 라이브 현장에서는 의미가 없지만, 패드 연주가 서툰 입문 자들에게는 더 없이 반가운 기능이다. 스텝 기능은 노트를 마우스로 찍듯이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기능으로 9.0에서는 드럼 모드에서만 지원했었기 때문에 스튜디오 작업자에게.. 에이블톤 라이브 전용 컨트롤러 에이블톤 라이브는 트랙에서 제공하는 슬롯에 샘플을 배치해놓고, 사용자가 원하는 샘플을 무작위로 재생하는 방식이라고 했다. 이 때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해도 좋지만, 라이브 현장에서는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그래서 에이블톤 라이브 전용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국내에서 수입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는 에이블톤 사의 Push, Novation 사의 Launchpad, Akai 사의 APC 40이라는 제품이 있다. 에이블톤 푸쉬 에이블톤 라이브 전용 컨트롤러는 가로(슬롯) 8개, 세로(트랙) 8개로 배치되어 있는 샘플을 재생할 수 있는 64개의 패드를 갖추고 있다. 즉, 패드를 눌러서 각 슬롯에 배치되어 있는 샘플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Push는 에이블톤 자사 제품 답게 라이브 대부분의 기능을 컨트롤.. 새로운 라이브 9.2 에이블톤 라이브는 독일 베를린 소재 Ableton AG에서 개발한 DAW 프로그램이다. 로직프로나 큐베이스 등의 DAW 프로그램과 다른 점은 클립을 독립적으로 컨트롤 할 수 이쓴 세션 뷰를 제공하고 있어 ABleton Push, AKAI APC40, Novation Launchpad 등의 전용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조합 연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라이브 공연에 최적화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주자나 디제이들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는 유일한 프로그램이다. 에이블톤 라이브의 특징 에이블톤 라이브는 루프 음악 연주 툴로 전 세계 DJ 및 라이브 연주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샘플 연주에 특화되어 있어 레코딩 보다는 라이브 악기처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작/편곡가들이.. Mac 컴퓨터의 선택과 Logic Studio의 구성 현재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맥 컴퓨터에는 노트북 형태인 맥북 시리즈와 맥미니, 모니터 일체형인 아이맥, 데스크톱 본체 형태인 맥프로가 있다. 어떤 형태를 사용해도 무관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연결 방식과 휴대성, 향후 확장 규모를 고려하여 선택하면 된다. 음악 작업을 위한 맥의 최소구비사양은 intel core 2 duo 2.0Ghz 이상의 성능을 권장한다. 맥 사양확인 맥을 구비한 뒤 자신의 컴퓨터 사양을 확인해 본다. 전원을 켜고 부팅과정이 끝나면 화면 상단의 메뉴바 첫 번째에 있는 사과 버튼을 누른다. 이어서 나타난 항목 중 '이 매킨토시에 관하여'를 클릭한다. 클릭 후 나타난 창에서 자신의 운영체제 버전과 프로세서, 메모리의 사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이전 1 다음